안녕하세요, IMQA입니다 😉
지난 ‘기능 뜯어보기 Ⅱ 화면 성능 분석, 성능 상세 분석’에서는 성능 문제 발생 시, 문제의 원인을 분석하는 화면 성능 분석과 성능 상세 분석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화면별 성능을 30분 단위로 상세히 모니터링하고, 문제 발생 시 히트맵을 통해 코드 레벨로 호출된 함수들을 분석하여 성능 저하 원인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 핵심이었죠. (아직 보지 않으셨다면, 여기서 확인해 보세요!)
이어지는 이번 글에서는 '보고서, 알림, 관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보고서
🙋🏻 무슨 기능인가요?
#클릭 한 번으로 발행하는 일일 보고서!

앱 버전별 측정된 성능 지표에 대한 리포트를 확인할 수 있는 보고서! 각 성능 지표별 성능 현황과 병목 현상을 요약하여 일자별로 확인할 수 있어요.
🙋🏻 활용법을 알고 싶어요!
1. 앱 버전별 일일 보고서를 한 번에 다운로드!
성능 지표에 대한 보고서를 앱 버전별, 일자별로 발행할 수 있어요. 보고서는 PDF, CSV 형태로 저장하거나 인쇄할 수 있어요.

2. 성능 현황과 병목 현상을 각각 상세하게!
보고서는 성능 리포트와 병목 현상 리포트로 구성되어 있어요. 전체적인 성능 현황과 하위 5%의 성능 저하 원인을 구분하여 파악할 수 있어요.

2. 알림
🙋🏻 무슨 기능인가요?
#알림 설정으로 사전에 장애를 방지!

성능 지표별 알림 기준치와 특정 버전, 디바이스 등 다양하게 알림을 설정! 대시보드에서 확인은 물론 이메일로 알림을 받아 장애 발생 전 대처할 수 있어요.
🙋🏻 활용법을 알고 싶어요!
1. 앱의 위험 상황을 인지하여 사전에 장애를 방지!
성능 지표별 알림을 받을 기준치와 위험도를 설정할 수 있어요. 성능 지표별 알림은 활성화(알림 받기)하거나 비활성화(알림 받지 않기)할 수 있어요.

2. 특정 항목별 알림 설정으로 맞춤 알림 가능!
앱 버전, 디바이스, OS, 위치별로 다양하게 알림을 설정할 수 있어요. 특정 항목별 다른 알림으로 앱 상황에 맞게 관리할 수 있고, 이메일로 알림을 받아볼 수 있어요.

3. 관리
🙋🏻 무슨 기능인가요?
#프로젝트 정보와 멤버 확인, 프리셋 등 프로젝트 관리를 간편하게!

기본적인 프로젝트 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관리! 간편하게 프로젝트 관리가 가능하며, 화면 이름 변경으로 더욱 편리하게 IMQA를 이용할 수 있어요.
🙋🏻 활용법을 알고 싶어요!
관리는 프로젝트 관리, 프로젝트 프리셋, 성능 분석, 화면 분석, 화면 관리 총 5개의 카테고리로 구분되어 있어요.
1. 프로젝트 관리- 프로젝트 정보와 멤버 확인을 한 번에!
프로젝트 이름, 앱 유형 등 프로젝트 정보를 변경할 수 있고, 멤버를 확인할 수 있어요. 프로젝트 정보는 프로젝트 매니저 이상만 변경할 수 있어요.

2. 프로젝트 프리셋- IMQA에 표시할 성능 지표별 기준치 설정!
성능 지표별 성능 저하 기준과 위험도를 설정할 수 있어요. 해당 기준치를 넘는 데이터의 비율로 위험, 경고, 정상 수준을 확인할 수 있어요.
( IMQA에 표시할 성능 지표별 기준치이기 때문에 알림에서처럼 활성화/비활성화 및 필터 기능은 없어요.)

3. 성능 분석, 화면 분석- 최근 30분에서 최대 1일까지의 성능을 한눈에!
‘관리 > 성능 분석', ‘관리 > 화면 분석'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성능이 저하된 구간 및 변동 추이를 확인할 수 있고, 화면별로 어떤 성능 저하가 있었는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요.

4. 화면 관리- 화면 이름을 이해하기 쉬운 이름으로!
‘관리 > 화면 관리'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앱의 화면 이름을 변경할 수 있고, 웹/하이브리드 앱의 경우 네이티브/웹뷰 구분하여 볼 수 있어요.

🙋🏻더 궁금하신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