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IMQA 마케터입니다.
오늘은 거품을 좀 걷어내고, 모바일 앱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이 IMQA와 같은 모바일 성능 모니터링 솔루션을 왜 찾게 되었는지, 그리고 그들은 왜 IMQA를 선택할 수밖에 없었는지 그 이유에 대해 한번 풀어볼까 합니다.
WHY 모바일 모니터링 솔루션을 찾게 되었는가?
‘2018년 모바일 산업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인구의 약 3분의 2가 모바일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으며, 모바일 경제 규모는 해외(13개국) 기준 2013년 6,820억 달러에서 2017년 1.5조 달러로 성장했다고 합니다.
또한 App Store는 2017년 220만 개로 4,400배 성장하였고, 구글 플레이스토어는 2017년 350만 개로 1,521배로 지금도 급성장을 꾀하고 있죠.
슬기로운 모니터링 생활 편에서도 명대사 1) 부분에 비슷한 이야기 있답니다.
이렇게 모바일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어떤 것이 함께 변화되었을까요?
바로 사용자 인식입니다.
예전에는 TV프로그램, 영화 콘텐츠는 대부분 PC 웹사이트에서 다운을 받아서 보거나, 다운로드한 파일을 모바일로 옮겨서 보곤 했죠. 여기서는 항상 두 분류로 나뉘게 됩니다. 첫 번째는 그냥 PC로 편하게 보겠다. 두 번째는 난 번거롭더라도 파일을 변환하고, 핸드폰으로 옮겨서 이동하는 길에 보겠다!
참고로 글쓴이는 iPHONE 6 출시되었을 때부터 지금까지 쭉 iOS 사용자입니다. 당연히 전 전자였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YouTube, NETFLLIX, Wavve 등 번거로움 1도 없이 내가 원하는 장소, 원하는 시간에 자유롭게 시청할 수 있는 모바일 앱들이 많이 출시되었습니다. 여담으로 요즘은 이런 모바일 앱으로 인해 ‘정주행족’이 생겼다고도 합니다.
그 정도로 다양한 분야에서 스마트폰의 편리함으로 인해 모바일 앱 사용의 전환율이 높아졌고, 사실상 스마트폰 없이는 생활이 불가능한 시대가 펼쳐졌습니다.
여기까지를 소비자의 인식 개선이라고 한다면 고객사의 입장도 조금은 쉽게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고객사 즉, 모바일 앱 서비스 제공 업체는 웹에서 모바일 앱으로 급속도로 사용자가 전환되는 현상을 직접적으로 느끼고, 더 나은 서비스를 위해 UI도 개편해 보고, UX도 지속적으로 변경해 주면서 서비스를 업데이트하면서 운영해 갑니다.
하지만, 누구도 원치 않고 그 누구도 예측하지 못한 일이 생기기 마련이죠? 특히 장애에 대해서는…
거기다가 이제는 동종 업계의 경쟁 서비스들도 많이 쏟아져 나오고 있기 때문에 업종별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겠지만 장애는 고객사들에게 매출과 직접적으로 연결이 되는 큰 사안이 되었습니다.
특히 금융권의 경우, 잦은 장애로 인해 목숨만큼 중요한 신뢰가 무너지는 경우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데, 그도 그럴 것이 금융권은 즉 돈이 왔다 갔다 하는 곳입니다. 월급날이나 이사를 위해 큰 비용을 지불해야 되는 상황에서 돈이 이체가 되지 않거나 접속 장애와 같은 장애가 발생하면 사용자의 신뢰가 깨지면서 결국은 다른 은행에 충성 고객을 빼앗기는 경우도 허다하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래서 금융권 모바일 서비스를 이용하다 보면 모바일 앱 정기점검을 새벽 2에서 7시 사이에 한다는 알람 또는 푸시 메시지도 받아보셨을 거예요.
또한 요즘처럼 금리가 낮은 시대에 괜찮은 상품을 출시하면 워낙 많은 사용자가 몰려 서버 등의 부하로 인해 모바일 앱 장애가 발생하여 고객들의 불만이 속출했다는 뉴스 보도에 실시간 검색까지 오르는 경우! 참 좋은 상품을 내놓고도 모바일 앱 장애라는 오명을 남기는 거죠.
이제는 위와 같은 경우가 꼭 남의 상황만이 아니기에 고객사들은 이런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고 예기치 못한 문제가 터졌을 때도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해 모바일 앱 성능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해 줄 수 있는 솔루션을 찾아보게 됩니다.
WHY 그들은 IMQA를 선택하게 되었는가?
IT업계에서 서비스 운영 좀 했고, 개발 좀 했던 분들은 아마 APM(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에 대해서는 많이 접해 보셨을 거라고 생각이 들어요.
APM은 웹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관리하고 모니터링하면서 제품으로 2000년대 초만 해도 옵션같은 존재였지만, 지금은 필수 요소로 자리매김하면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는 시장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그 시대를 지나 지금은 PC에서 모바일 웹을 거쳐 모바일 앱 시대가 탄생하게 되었죠.
하지만 모바일 앱 시장이 성장에 반해 모바일 앱 성능 모니터링 관련 제품의 발전은 아직 걸음마 수준으로 가장 큰 이유는 모바일 환경을 들 수 있습니다.
개발 환경만 보더라도 모바일 OS가 안드로이드와 iOS로 나뉘고, 개발자마다 개발하는 방식도 환경도 제 각각이고, 시대마다 유행하는 개발 방법도 다르다는 점! 지금 앱 개발자들은 인정하실 겁니다.
먼저 개발 방식을 네이티브로 할 것인지, 하이브리드로 할 것인지 정해야 되고, 만약 네이티브로 결정 정했다면 안드로이드와 iOS 앱을 각각 개발하게 되는데, 안드로이드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또는 코틀린을 가장 많이 도입하고 있고, iOS는 Xcode와 Swift로 개발을 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그리고 요즘 모바일 앱 개발자들 사이에서는 하이브리드로 개발하는 것이 유행이라고 하는데, 그 이유가 모바일 앱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고객사 입장에서 하나의 코드로 OS 구분 없이 모두 빌드가 가능하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조금 더 덧붙여 설명을 하면 하이브리드로 개발을 하기 위해서는 java script는 필수고, react나 cordova를 이용해서 빌드를 하는 것까지!! 아주 살짝 모바일 앱 개발 환경에 대해 맛보기 설명을 드린 것인데 여기까지만 해도 사바사(사람 대 사람) 케바케(케이스 대 케이스)를 넘어서 시대의 흐름까지 따라가야 하니 왜 모바일 성능 모니터링이라는 솔루션이 세상에 태어나는 것이 얼마나 어려웠을지 이제 조금 짐작이 가시죠?
이런 환경이다 보니 IMQA 탄생 전 서비스는 이상 징후 분석(Crash Report)에 국한되어 모바일 성능을 최적화 시키는 데는 터무니없이 부족한 점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IMQA는 모바일 OS, 개발 환경을 따지지 않고 실시간으로 모바일 앱 성능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장애가 발생되었을 때도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있도록 코드 레벨까지 분석이 가능하다는 부분이 바로 고객사들이 IMQA를 선택하고 IMQA에 열광하는 이유랍니다!
그럼 오늘은 간단하게 IMQA가 어떤 요소들을 보여드리는지 대시보드를 통해 간략하게 설명을 해드릴게요. 대시보드는 1분 단위로 내용이 갱신되고, 설정해놓은 모바일 앱의 종합적인 성능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좌측과 우측이 나누어져 있고, 좌측은 실시간 성능 차트를 통해서 전반적인 운영 상황(접속자 수, 리소스, 로딩 시간, 네트워크 응답 등)을 체크할 수 있고요.
우측은 우리 서비스 화면 별 운영 상황을 개별적으로 체크하여 현황을 꼼꼼하게 파악을 할 수 있도록 설계가 되어 있어서 성능이 좋지 않은 화면 또는 URL 경로를 통해 구간별로 상태를 체크하고 개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리소스에 투입되는 것들도 줄이고, 성능을 개선하는 시간도 줄이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 IMQA를 도입하는 이유 중 첫 번째입니다.
여기서 끝나면 IMQA가 아니죠?
장애가 발생되었을 때 코드 레벨까지 분석할 수 있어서 문제 원인을 즉각 발견하니 대응도 빠르다는 것은 이제 입이 마르고 닮도록 이야기해드렸죠. IMQA는 그 외에도 장애가 발생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어떤 지역에서 어떤 OS, 어떤 앱 버전, 어떤 통신사, 어떤 기기에서 무슨 장애가 자주 발생까지도 한눈에 알기 쉽게 보여주기 때문에 발생된 장애를 해결하는 건 기본이고, 장애의 요인을 없애는 부분에도 일조를 하기 때문에 IMQA를 통해 성능을 명품급으로 만드는 이것이 IMQA를 도입하는 두 번째 이유입니다.
이쯤 되면 IMQA 우리도 도입할 수 있을까? 하고 생각하시는 분들!
IMQA 이야기 1편과 2편에도 가끔 등장하신 저희 IMQA 얼굴마담 정품질(가명) 님께 전화 한통 하셔서 편하게 물어봐 주세요. 전화는 쑥스럽고, 글이 편한 분들은 이메일을 보내주세요. 그럼 저희 정품질님께서 친절하게 설명을 해주실 거예요.